목차
MCP란?

Model Context Protocol.
기존 LLM은 한정된 기능만 사용할 수 있었다. (그림, 텍스트) MCP를 사용하면 누구나 쉽게 AI가 사용할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AI에게 쥐어줄 수 있게 되었다.
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중 하나인 HTTP처럼, MCP는 모든 인공지능 모델이 사용 가능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. MCP라는 표준이 있고, 이에 맞게 기능을 구현하면 됨.
- LLM이 외부 데이터 소스 및 도구 간의 안전하고 표준화된 통신을 위한 개방형 프로토콜로,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
-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LLM이 구글드라이브, 슬랙, 깃헙, 깃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에 쉽게 연결할 수 있음
- 서비스들이 각각 독립적인 MCP 서버로 구현된다
- AI 호스트 애플리케이션(ex: 클로드)이 필요에 따라 접근할 수 있다
웹검색, 인터넷쇼핑, 이메일확인 및 발송과 같은 역할들까지 수행을 할 수 있게 된다. 챗봇 형태의 인공지능이, 행동하는 인공지능 에이전트로써 나아가기 위한 기초 발판이 마련된 것이다.
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들이 MCP 버전으로 만들어서 인공지능들의 손에 쥐어줄 수 있게 되었다.
- as-is
- 사람들이 직접 서비스를 웹사이트로 접속하거나 앱을 다운받아 사용해야 했음
- to-be(with mcp)
- 인공지능이 대리자로써 서비스를 대신 사용해서 일을해줌
- 즉, 사용자가 서비스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을 통해 서비스를 사용하는 형태. 인공지능에게 특별한 일을 대신 시킬 수 있을듯?!
- ex: 비행기 표 예매 시나리오
- as-is
- 사용자가 직접 비행기표를 검색하고 직접 결제까지 수행
- to-be(with mcp)
-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MCP 버전 앱을 설치하고, AI에게 특정 날짜의 비행기표를 검색해서 예매해달라고 요청
사용 방법
지원 도구 (2025.03.29)